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Git 디렉토리 생성부터 커밋하기까지 -1
    Git 2020. 6. 25. 21:35

    커밋이란 깃에서 버전을 만드는 것을 간단히 표현했다고 할 수 있다.

     

    커밋을 먼저 배우고 실습하기 전에 우선 깃 저장소를 만들 디렉터리를 새로 만들고 시작하자.

     

    디렉터리 이름은 ct_test이다. 터널 창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된다.

    $ mkdir ct_test

    $cd ct_test (cd명령어로 ct_test로 이동함)

     ct_test 생성 및 이동

     

    디렉터리를 생성하였으니 이제 저장소를 만들자. 깃을 사용할 수 있도록 초기화 작업을 해준다.

    $ git init

    Initialized empty Git repository in.... 이란 메시지가 뜨면 이제부터 디렉터리에 깃을 사용할 수 있다.

    디렉터리 초기화

    디렉터리를 생성하였으니 새로운 파일을 만들어보자. 이름은 hello_ct_test로 해준다.

    $ vim hello_ct_test.txt

     

     

    이제 파일 생성을 마쳤으니 파일을 스테이징 해준 후 커밋해보도록 하자!

     

     

    스테이징은 작업 트리에서 파일을 만들거나 수정했다면 깃에게 버전 만들 준비를 하라고 알려주는 것이다.

   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.

    자식 추가 hello_ct_test.txt

    스테이징을 해도 아무 내용이 나타나지않는다. 그렇다고 아무 일도 하지않는 것은 아니다.

     

    $git status를 통해 깃 상태를 확인해보자.

    txt앞에 new file이 보이는가? 새 파일 hello_ct_test.txt를 (앞으로) 커밋하겠다는 뜻이다.

    마지막줄에 new file: 

     

    커밋을 할 때는 그 버전에 어떤 변경 사항이 있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메시지를 함께 기록해두어야 한다.

    커밋을 하는 명령어는 git commit이다. 한 칸을 띄우고 -m옵션을 붙이면 커밋과 함께 메시지를 적을 수 있는데 이것을 커밋 메시지라고 한다. 

    $git commit -m "msg1"

    커밋 후 파일 1개가 변경되었고 파일에 1개의 내용이 추가되었다고 나타난다.

    스테이지에 있던 hello_ct_test.txt 파일이 저장소에 추가된 것이다.

     

    그럼 현재 깃의 상태는 어떨까? 확인해보자.

     

    $git status

    결과 메세지를 보면 만들 파일이 없으며 작업 트리도 수정사항 없이 깨끗하다고 나타난다.

     

    버전이 제대로 만들어졌는지는 어떻게 확인할까? 

    $git log 명령어를 사용해보자

    커밋을 만든 사람과 시간, 커밋 메시지가 나타나는 걸 볼 수 있다.

    이처럼 커밋을 하면 수정과 관련된 여러 정보를 함께 저장하고 필요할 때 확인할 수 있다.

     

    그림판으로 그려왔다.

    그림과 같이 스테이지에 있던 hello_ct_test.txt가 저장소에 만들어졌다.

     

     

    다음에는 스테이징과 커밋을 한꺼번에 처리하는 걸 배워보도록 하자.

    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Git 브랜치란?  (0) 2020.06.25
Designed by Tistory.